이번에 다이어트를 하면서 단백질 쉐이크를 알아보았어요. 그중에서도 프로티원은 올리브영어서도 판매 1위 단백질 쉐이크 제품이라 유명해서 직접 구매해보고 마셔보았습니다. 단백질 쉐이크의 장단점과 직접 선택한 프로티원 쉐이크의 성분, 맛, 특징, 장단점, 솔직후기, 이벤트를 포스팅하겠습니다.
단백질 쉐이크, 프로티원
단백질 쉐이크는 운동 후 회복을 돕고, 식사 대용이나 체중 조절을 위한 간편한 식품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어요. 특히 바쁜 현대인에게는 빠르고 간편하게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죠.
그럼 단백질 쉐이크의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단백질 쉐이크란? 장점과 단점 한눈에 보기
장점
- 빠른 섭취: 물이나 우유에 타서 간편하게 마실 수 있어요.
- 고단백 저칼로리: 근육 형성과 다이어트에 유리한 영양 구조.
- 다양한 맛과 성분 선택 가능.
단점
- 맛에 대한 호불호: 일부 제품은 단백질 특유의 비릿한 맛이 날 수 있어요.
- 장기 복용 시 성분 체크 필요: 단백질 함량 외에도 당류, 첨가물 등은 꼭 확인해야 해요.
프로티원 단백질 쉐이크 제품 소개
최근에 먹어본 제품 중 단연 인상 깊었던 건 바로 **'프로티원 단백질 쉐이크'**였어요. 기존 단백질 쉐이크에 대한 선입견을 완전히 깨준 제품이었는데요, 아래에서 그 이유를 자세히 소개해볼게요.
1) 맛있어서 놀란 단백질 쉐이크
"단백질 특유의 비릿한 맛 ZERO! 속세의 맛."
초코맛 기준 당류는 0.5g, 단백질은 무려 19.8g으로 맛과 영양을 모두 잡았어요. 실제로 마셔보면 미숫가루처럼 고소하고 부드러우며, 과자 같은 식감도 살짝 느껴져서 거부감 없이 맛있게 먹을 수 있었어요.
제품을 뜯어 보면 가루에는 알맹이가 보이지 않는데, 물에 섞으니 입안에서 아삭아삭 씹히는 고형물이 보이더라구요.
2) 성분과 조합도 믿을 수 있어요
- 동물성 단백질 WPI만 사용
- 6:4 식물성+동물성 단백질 조합
영양과 소화 모두를 고려한 조합이 돋보입니다.
3) 체중 관리용으로도 딱!
1회 섭취량 35g 기준 110kcal,
체중 조절용 조제식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다이어트 중에도 부담 없이 마실 수 있어요.
또한, 소화를 돕는 15곡 곡물발효효소가 들어 있어 속이 편했답니다.
4) 부원료까지 신경 쓴 디테일
- 히알루론산, 피쉬콜라겐, 엘라스틴
- 유산균, 차전자피, 비오틴까지!
건강까지 챙기고 싶은 분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구성입니다.
솔직한 후기: “이 맛에 계속 찾게 된다”
사실 단백질 쉐이크 하면 “몸에 좋지만 맛은 없다”는 인식이 있었어요. 그런데 프로티원은 달랐어요. 고소한 미숫가루 느낌에, 중간중간 과자처럼 톡톡 씹히는 식감이 더해져서 거부감 없이 먹을 수 있었어요.
운동 후는 물론, 바쁠 때 간식 대용으로도 만족스러웠습니다.
5)이벤트
- 곡물맛한정혜택으로 곡물맛 선택시 1통 31,900원 (공식몰 할인가 구매 바로가기)
- 멤버쉽&알림받기시 쿠폰제공
- 네이버스토어 구매시 공식몰 단독혜택으로 웰컴쿠폰, 생일쿠폰, 구매자 전원 10%쿠폰을 구매후 6개월간 VIP등급 혜택제공(네이버스토어 구매 바로가기)
프로티원 단백질 쉐이크 곡물 맛 외 5종 다이어트 식사대용 프로틴 보충제 파우더 한끼 맛있는 :
[프로티원] 빛나는 ‘나’를 발견하는 여정, 프로티원
brand.naver.com
저도 할인 구매가로 구매해서 2통을 구매했어요~!! 미숫가루대신 차라리 단백질 쉐이크~!!
함께 보면 좋은 글
동탄보건소 인바디 무료 측정 방법과 직접해본 후기
집에 인바디 기계가 없다면, 내 몸의 근육량과 지방량을 측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운동 중간에 운동이 잘되어가고 있는지 중간점검을 위해 한번쯤 해보는 것은 좋은 지표가 됩니다. 그래서 무
ourhistory160109.tistory.com
'일상 > 음식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핫초코 제품 비교와 후기 (스위스미스 핫초코, 자판기 핫초코) 만들기, 칼로리 (2) | 2023.11.16 |
---|---|
식기세척기 비교 추천 (1) | 2023.02.08 |
빈혈에 좋은음식과 식사방법 (2) | 2023.01.11 |
다양한 원인의 빈혈의 종류 (2) | 2023.01.10 |
빈혈의 정의와 빈혈의 진단 (0) | 2023.01.09 |
댓글